우주 비행사가 말하는 시차 극복법 2가지

0

유럽이나 미주로의 장거리 해외여행은 듣기만 해도 가슴 설레지만 시차 적응에 고충을 토로하는 이들이 많다최근 무려 우주를 두 번이나 여행한 우주 비행사가 시차 극복법을 공유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미국 매체 트래블 앤 레저(Travel and leisure)가 나사(NASA) 우주 비행사 마이크 마시미노(Mike Massimino)의 시차 극복법을 소개했다마이크 마시미노는 시차를 극복하기 위한 팁으로 빛에 노출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사진=flickr

 

 

1845년에 창간한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cientific american)의 시차를 예방하는 방법(How to prevent Jet Lag)’ 기사에서도 빛 노출 조절법을 자세히 설명한다이른 아침에 받는 빛은 기상시간을 이르게 만들고 잠들기 전에 받는 빛은 기상시간을 더 지연한다.

한국 기준 동쪽으로 여행하는 경우 시차가 6시간 이내라면 아침에 빛을 쬐고, 7시간 이상이라면 오후에 볕을 쬐는 것이 좋다서쪽의 경우에는 반대로 6시간 이내라면 오후에 빛을 쬐고, 7시간 이상이라면 오전에 햇볕을 쬐는 걸 추천한다.

이 밖에도 한국 기준 동쪽으로 향하는 비행에서는 출발 3일 전부터 매일 1시간씩 늦게 일어나면 시차 적응에 도움이 된다반대로 서쪽으로 향하는 비행에서는 출발 3일 전부터 매일 1시간씩 일찍 일어나는 걸 추천한다.

아울러 마이크 마시미노는 카페인 섭취를 억제해야 한다고 전했다카페인은 인공적으로 교감 신경을 자극해서 수면을 방해한다시차 적응에 부적절한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반대로 멜라토닌 섭취는 권장했다한국 기준 동쪽으로 여행하는 경우에는 취침 2시간 전에 멜라토닌을 섭취해야 한다서쪽으로 여행하는 경우 멜라토닌 복용이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마이크 마시미노는 첨단 기술 앱 타임 시프터(Timeshifter)의 고문이기도 하다그는 이것저것 할 게 너무 많다면 타임 시프터 앱을 사용하는 것을 권유한다고 말했다이 앱에서 수면 시간빛에 노출 되는 시간멜라토닌 섭취 시간커피를 피해야 하는 시간 등 맞춤형 계획을 짜준다고 설명했다.

=김혜성 여행기자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