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역사를 바꿀 생물에 대통령 이름을 붙여 화제가 되고 있다.

출처= 트위터 @CRCpaleos

미국의 라이브 사이언스는 몬태나 주에서 발견된 화석에 미국 대통령 이름이 붙여졌다고 밝혔다. 이 생물은 실립시모포디 바이데니(Syllipsimopodi bideni)’라는 이름으로 ‘실립시모포디’는 그리스어로 ‘잡기 쉬운 발’을 뜻하며 ‘바이데니’는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의 이름을 붙였다.

이 생물에 현직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붙인 것은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다. 화석을 재발견한 크리스토퍼 월렌은 “기후변화에 대처하고 관련 과학 연구를 지원하는 그의 계획에 용기를 얻었다”고 밝혔다.

출처= 트위터 @CRCpaleos

실립시모포디 바이데니 화석은 1988년 몬태나 주 퍼거스 카운티 베어굴치에서 발견되어 캐나다 온타리오 왕립 박물관에 기증됐다. 하지만 아무도 이것이 새로운 종이라는 것을 밝혀내지 못했다. 그러다 뉴욕 자연사박물관 고생물학 연구원 크리스토퍼 월렌과 명예 큐레이터 닐 랜드만이 이 화석을 다시 연구해 새로운 종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논문 초안 제출 당시 마침 조 바이든이 대통령에 취임한지 몇 주가 지나 그의 이름을 바로 떠올렸다. 논문은 지난 3월 9일 정식으로 발표됐다.

이 생물은 생물학 역사를 바꿀만한 가치가 있다. 실립시모포디 바이데니는 32800만 년 전에 서식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의 오징어·문어 관련 화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2억 5000만 년 전으로 8200만 년 앞선 것이다. 또한, 이 생물은 10개의 팔이 있어 오징어처럼 보이지만 흡반(吸盤)은 문어와 유사하다. 오징어와 문어는 연체동물이지만 다른 종으로 분류돼 있다. 이 화석의 재발견으로 오징어와 문어가 하나의 조상으로부터 진화한 것으로 볼 수 있어 연구가 새롭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트위터 @ammo_ammo_ammo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생물은 이전에도 있었다. 버락 오바마는 거미, 털벌레, 어류 등 9개 종의 이름에 들어가 있다. 도널드 트럼프도 나방이나 양서류에 이름이 붙여져 있다.

글= 서주훈 여행+ 인턴 기자
감수= 홍지연 여행+ 기자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