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진 이동 패턴…요즘 제주 관광객이 찾는 지역은 사진=언스플래쉬 제주 어디를 가든 찾는 곳 따로 있어 주로 해변ㆍ치킨ㆍ카페ㆍ맛집 찾아 제주관광공사는 홍콩폴리텍대학교 박상원 교수 연구팀에 의뢰해 분석한 ‘제주방문관광객 이동패턴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결과, 8개의 의미있는 핫플레이스 결과가 나왔다. 각 장소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검색결과에서 렌터카, 공항, 숙소 카테고리를 제외하면 대부분 바다, 치킨, 카페, 맛집 등으로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핫플레이스 8곳은 이렇다. 제주공항인근(제주시 동지역), 함덕해변(조천읍) 인근, 성산일출봉과 섭지코지(성산읍) 인근, 표선해변(표선면) 인근, 서귀포 구시가지(서귀포시 동지역), 중문관광단지(서귀포시 중문동), 협재-금릉해변(한림읍), 곽지-한담해변(애월읍)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눈여겨볼 특징은 이렇다. 과거 제주 전지역에 위치한 유명 관광지 중심의 이동 패턴에서 특정 지역을 선택한 후 그 지역 인근에서 여유있게 머무르는 여행 패턴을 보인다는 점이다. 핫스폿 외부에서 유입된 관광객(평균 33%)보다 내부에서 이동한 관광객(평균 67%)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료=제주관광공사 핫플레이스 외부에서 유입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은 ‘함덕해변(조천읍)’과 ‘곽지-한담해변(애월읍)’ 등 제주시 동지역과 인접한 지역이었다. `함덕해변‘의 경우 외부 유입 비율이 46%로 나타났고, ’곽지-한담해변‘은 49%를 보였다. 이 두 지역 모두 제주시 동지역에서 유입된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한편, 이번 분석은 내비게이션 데이터, 공공 Wi-Fi 데이터, 버스카드 승·하차 태그 정보 데이터를 활용해 실시했다. 데이터 기간은 2018년 7월부터 작년 10월까지의 자료다. 이용자 규모는 2018년 909,988명, 2019년 1,354,554명이고, 데이터 규모는 1개월당 약 4백만 건이다. 자료=제주관광공사권효정 여행+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