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中이 인정 안 해” 쿠바, 대만 여권 거부…당황한 여행객

장주영 여행+ 기자 조회수  

최근 대만 여행객이 쿠바에서 입국을 거부당한 사례가 2건 발생했다. ‘중국이 압력을 가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대만 내에서 제기됐다.

대만 여권 / 사진=대만 외교부

민시신문 등 대만 매체는 대만 여권으로 쿠바에 입국하려던 대만 여행객이 ‘중국이 대만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다’ 등 이유로 입국 거부 및 송환을 당했다고 지난 25일 보도했다.

2023년 12월 21일 멕시코에서 쿠바로 향하던 한 대만 여행객은 공항에서 약 25시간을 대기한 후 멕시코로 돌려보내졌다. 쿠바 출입국관리소 직원은 “대만 여권으로 입국할 수 없다. 중국 여권으로만 가능하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여행객은 “2만 대만달러(약 85만원) 정도의 손실을 봤다. 단기간 내 쿠바를 다시 가지 않을 것 같다”라고 밝혔다.

쿠바 아바나, 바라데로 / 사진=쿠바 관광청

2023년 12월 23일 대만 교포 옌모씨 일가도 같은 상황을 겪었다. 캐나다 몬트리올에 거주하는 옌모씨 가족은 전원이 캐나다 영주권을 가지고 있다. 가족 5인이 9일간의 자유여행 계획으로 쿠바 아바나공항에 도착했으나, 출입국관리소 직원이 “중국이 대만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다”라며 입국을 거부하고 여권을 압류했다. 다음 날 아침 5명 전원은 캐나다로 송환됐다. 이들 가족은 약 10시간 이상을 대기한 후 돌려보내졌다.

쿠바 국기 / 사진=미 국무부

옌모씨는 “2023년 5월, 7월에 대만 여권으로 쿠바에 입국한 친구가 있는데 왜 안 되냐”며 큰 소리로 항의했다. 하지만 쿠바 출입국관리소 직원이 “이것이 새로운 정책이다. 대만은 이제 중국과 관계가 좋지 않다”라고 말하며 입국을 거부했다.

쿠바 아바나의 호세 마르티 국제공항 / 사진=호세 마르티 국제공항 웹사이트

대만 외교부는 “현재 쿠바에 대만 여권에 대한 제한 사항은 없다”며 “관련 정보를 확인할 때까지 쿠바 여행을 미뤄 달라. 혹은 쿠바 정부 웹사이트나 항공사 등을 통해 입국 규정을 확인해 달라”고 부탁했다.

대만 국기 ‘청천백일만지홍기’ / 사진=중화민국총통부

대만에선 “중국의 ‘대만 찍어 누르기’다. 놀라운 것 없다”라는 여론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의 한 여행사 대표는 “크리스마스 연휴 기간 벌어진 오해이길 바란다”라며 “쿠바에 갈 수 없게 된다면 관련 법에 따라 환불 혹은 고객이 선택한 다른 상품으로 대체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톈안먼(천안문)에서 중국 국기가 올라가고 있다. / 사진=중국 정부

중국 환구시보 등 언론은 “쿠바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했다. 소위 ‘대만 여권’이란 것은 인정하지 않았다”며 “대만 내 네티즌도 대만 당국에 불만을 표시했다. ‘다가오는 선거를 위해 이슈를 만드는 것 아니냐’라고 생각하는 이도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네티즌은 “잘했다. 멋지다. 쿠바를 칭찬한다” 등의 댓글을 달았다.

대만 네티즌이 사용한 ‘외교부(外交部)’ 단어를 모자이크 처리한 것으로 보이는 중국 환구시보 SNS(웨이보) / 사진=웨이보

한편 2022년 11월 도입된 인도네시아 전자세관신고서(ECD)의 국적 입력란에는 ‘대만’ 혹은 ‘중화민국’ 항목이 없다. ‘중국’을 고르거나, ‘기타’를 선택 후 직접 입력해야 한다. 이번 쿠바 입국 거부 사건이 화제가 되며, 대만 내에서 “인도네시아에 입국하는 모든 대만 사람이 중국인이 되기를 강요당하고 있다”라는 비판이 일었다. 이에 대만 외교부는 “인도네시아 정부에 개선을 요구했다”라고 발표했다.

인도네시아 전자세관신고서(ECD) 국적 선택란에 대만을 검색한 결과. 홍콩(HK)과 마카오(MO)는 선택할 수 있다. / 사진= 인도네시아 전자세관신고서 작성 웹사이트

글=유준 여행+ 기자

//php echo do_shortcode('[yarpp]'); ?>

관련기사

장주영 여행+ 기자
content@tripplus.co.kr

[해외] 랭킹 뉴스

  • 지옥문이 열렸나? 이탈리아, 주요 관광지에 ‘극단적 위험’ 경고
  • ‘꽃밭에서 고급 와인까지’...캘리포니아 와인 투어 열차가 화제인 이유
  • “역대급 희소식” 마드리드에서 이곳까지 운행하는 직항 열차 개통한다
  • 무너진 것 같이 보이는데···중국 난징에 들어서는 신개념 타워
  • 이제 마테호른에서 ‘토블론 인증샷’ 못 찍는다
  • 세렝게티에 생긴다는 ‘JW 메리어트 사파리 호텔’ 화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혀에 닿는 순간 녹는 듯한 식감과 씹을수록 담백한 맛! 생고기 맛집 BEST5
  • 나만의 맛을 찾아보는 즐거움이 있는 순대볶음 맛집 BEST3
  • 빵순이 여기 다 집합!! 전국 빵지순례 맛집 BEST5
  • 갤럭시 Z플립6⋅Z폴드6, 어떤 색상 추가되나?
  • 스마트폰에 이어 카메라도 ‘자가 수리 프로그램’ 도입한다
  • 광고차단 막으려는 유튜브, ‘광고 일체화’ 초강수 둔다
  • 맥 이어 아이폰에도 ‘게임 모드’ 추가된다
  • 올해에도? 갤럭시 폴드·플립 6, 가격 오를지도
  • 갤럭시 버즈3, 제품 사양 유출…달라지는 점은?
  • 테슬라 사이버트럭 ‘경찰차’로 데뷔…어떤 모습?
  • 퀄컴, 윈도우용 ARM 칩 독주에 제동 걸리나
  • 아이폰으로 라이카 느낌 내는 카메라 앱 ‘LUX’ 출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혀에 닿는 순간 녹는 듯한 식감과 씹을수록 담백한 맛! 생고기 맛집 BEST5
  • 나만의 맛을 찾아보는 즐거움이 있는 순대볶음 맛집 BEST3
  • 빵순이 여기 다 집합!! 전국 빵지순례 맛집 BEST5
  • 갤럭시 Z플립6⋅Z폴드6, 어떤 색상 추가되나?
  • 스마트폰에 이어 카메라도 ‘자가 수리 프로그램’ 도입한다
  • 광고차단 막으려는 유튜브, ‘광고 일체화’ 초강수 둔다
  • 맥 이어 아이폰에도 ‘게임 모드’ 추가된다
  • 올해에도? 갤럭시 폴드·플립 6, 가격 오를지도
  • 갤럭시 버즈3, 제품 사양 유출…달라지는 점은?
  • 테슬라 사이버트럭 ‘경찰차’로 데뷔…어떤 모습?
  • 퀄컴, 윈도우용 ARM 칩 독주에 제동 걸리나
  • 아이폰으로 라이카 느낌 내는 카메라 앱 ‘LUX’ 출시

추천 뉴스

  • 1
    '무료 호캉스 or 시티 투어' 환승 손님에게 공짜 혜택 퍼주는 '혜자' 항공사 터키항공

    여행꿀팁 

  • 2
    '명상부터 예술까지' 1박 2일도 부족한 강원도 웰니스 명소 '어디'

    국내 

  • 3
    여름 호캉스에서는 야외 수영장이 필수! 서울에서 제주까지, 대표 호텔 수영장 프로모션

    국내 

  • 4
    부산 서구 최초 5성급 호텔, 최대 40% 할인…나흘 동안만 혜택

    국내 

  • 5
    보잉 787 드림라이너의 기장이 알려주는 비행기의 비밀

    항공 

지금 뜨는 뉴스

  • 1
    서울 도심에 반짝 등장한 ‘유럽 감성 정원’ 정체

    여행꿀팁 

  • 2
    가을에 딱 좋은! 나만의 향수를 만들 수 있는 한옥 향수 공방 Top2

    국내 

  • 3
    '헉, 이게 뭐람?' 피에 젖은 비행기 바닥에 깜짝 놀란 승객

    항공 

  • 4
    어린왕자에 피노키오까지…진짜 유럽 방불케 하는 경기도 ‘그곳’

    국내 

  • 5
    [여행+책] 여행자를 매혹시킨 여행의 진짜 매력을 무엇일까

    여행꿀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