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학생들이 공부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이른바 ‘공방’(공부방송)이 해외로 퍼져나가 인기를 끌고 있다.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4일 ‘한국 유튜버들이 벼락치기(cram sessions)를 새로운 차원으로 높였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 유튜버의 영상을 소개하며 “이 비디오에 나오는 한국 학생은 거의 아무 말도 하지 않으며 몇 시간 동안 공부만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영상에는 책장 넘기는 소리와 연필 소리를 내면서 테이블에 앉아 공부하는 학생을 촬영한다”라며 “사람들은 이 영상을 보며 마치 ‘가상의 파트너’와 함께 공부한다고 느끼게 된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온라인 수업이 일반화돼 더욱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또 하루 16시간에 달하는 시간까지 공부하며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한국 학생들이 ‘공방’을 통해 자신만이 과중한 학업 스트레스를 받는 게 아니라는 위안과 자극을 얻는다고 덧붙였다.
SCMP는 한국의 ‘공방’ 열풍이 미국, 일본, 영국 등 다른 나라에서도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영국 엑서터대에서 영문학을 전공하는 루비 그랜저의 ‘공방’은 구독자 56만 3000명, 미국 뉴욕 출신 의사 제이미의 ‘공방’은 40만 6000명에 달한다. 인도의 한 의학도의 공방 역시 17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고, 네덜란드서 박사과정을 밝는 또 다른 인도인의 공방은 구독자 2만 명이다.
SCMP는 “대부분의 공방 유튜버는 명성이나 돈 때문에 채널을 운영하는 게 아니지만 광고로 돈을 벌기도 한다”며 “이 과정에 생긴 수익을 기부하거나 공방 구독자 중 좋은 성적을 얻은 이에게 기프트 카드 등의 선물로 제공하는 유튜버들도 있다”고 전했다.
강예신 여행+ 인턴기자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