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한번 온 한국 손님, 다시 안 오면 어쩌나” 반성하는 대만 여행업계

장주영 여행+ 기자 조회수  

대만을 찾는 한국 관광객이 늘어났지만 관광지 인프라와 단체관광 상품이 열악해 재방문 유도가 어렵다고 현지 업계에서 전했다.

대만 지우펀 / 사진=대만관광청

지난 12일 대만 중앙통신사 보도에 의하면 코로나 이후 대만을 찾는 한국 관광객의 숫자가 ‘기대 이상’으로 늘었다. 또한 다수 한국인이 대만을 처음으로 찾았다. 개그맨 김재우와 배우 위하준을 홍보대사로 내세우는 등 대만 관광청이 여러 캠페인과 이벤트를 진행한 덕이라고 중앙통신사는 분석했다.

개그맨 김재우 부부 / 사진=대만관광청

배우 위하준 / 사진=대만관광청

그러나 인프라와 단체관광 만족도가 떨어진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한국 대형 여행사와 다년간 협업해 온 대만의 한 여행업 관계자는 “코로나 후 대만을 찾는 한국인 중 다수는 ‘드디어 여기가 어떤 곳인지 확인한다’는 심정으로 처음 방문한다. 하지만 지우펀, 스펀, 예류 등 한국인이 많이 찾는 명소의 공공시설 상태가 그리 좋지 않다”고 말했다.

대만 지우펀 거리 / 사진=대만관광청

한 업계 인사는 “대만은 국제적으로 유명한 명소가 많지 않고 기존 명소 시설도 계속 개선되지 않고 있다. 하루 1만6000명까지 찾는 지우펀 거리의 경우, 길이 좁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도 낡고 더러워 관광객이 사용할 엄두를 못 낸다. 예류는 현재까지도 관광버스를 안전히 정차하고 손님이 승하차할 공간이 마련되지 않았다”라고 비판했다.
 
또한 해당 업계 인사는 “20여 년간 변하지 않는 투어 일정을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지 여행업계는 계속 중남부 등 기타 지역도 투어에 포함하려 하고 있지만 반응이 좋지 않다. 늘 비슷한 일정 기획과 기존 명소의 안 좋은 인상이 한국 관광객의 새로운 명소 방문 의욕을 떨어뜨린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대만 예류지질공원 / 사진=대만관광청

기성세대에겐 여행사가 제공하는 투어 일정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중앙통신사는 전했다. 한국의 젊은 층은 대만 여행 시 자유 여행을 주로 택하나, 연령대가 높은 여행객은 투어 상품 기획과 현지 이벤트 다양성이 재방문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코로나 이후 투어를 통해 처음으로 대만을 찾은 60대 한국인 김 모 씨는 “사원과 풍경을 조금 본 기억밖에 없다”며 한국과 별 차이를 못 느끼겠다”라고 중앙통신사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업계 인사는 “단기적으로 한국 관광객이 대만을 많이 찾겠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큰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평가했다.
 
한편 대만을 찾는 한국 관광객의 자유여행과 단체여행의 비율은 약 6대 4다. 기존 단체여행 외 ‘소규모 단체여행’이 코로나 이후 신흥 여행 종목으로 주목받는다고 중앙통신사는 전했다. 인원수가 적어 탄력적으로 일정을 운영할 수 있으며 쇼핑도 포함되지 않는다.
 
해당 기사 댓글에는 ‘인프라가 안 좋은 것은 사실’, ‘더럽고, 볼 것도 없고, 바가지를 씌우는 곳에 왜 오겠나’ 등 자국을 비판하는 의견이 많았다.

글=유준 여행+ 기자

관련기사

author-img
장주영 여행+ 기자
content@www.tripplus.co.kr

[해외] 랭킹 뉴스

  • 크리스마스 포토존 천국! 인증샷 맛집 쿠알라룸프르 쇼핑몰 4선
  • ‘별이 쏟아지는 해변으로 가요’ 격렬하게 쉬고 싶은 당신에게 제격인 태국 코사멧 코스
  • 식물원부터 이색 박물관까지,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뚜벅이 코스
  • ‘자연의 두 얼굴’ 아름다움과 경외로움이 가득한 카오락의 매력 만끽하는 코스
  • ‘주말 오후 같은 분위기’ 간직한 쿠바 시엔푸에고스의 평화로운 풍경 만끽하는 코스
  • 사천 음식의 고향, 맛과 문화 잡은 청두 오후 코스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