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가리왕산 케이블카, 지방 소멸위기 정선 구할 대안

권효정 여행+ 기자 조회수  

강원 정선군 가리왕산 케이블카를 둘러싼 ‘존치냐 철거냐’ 논쟁이 뜨겁다. 가리왕산은 정선과 평창에 걸쳐 있다. 가리왕산 케이블카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알파인스키 경기장의 곤돌라를 활용한 시설이다. 올림픽 후 철거 예정이었으나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한 존치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환경보존과 지역발전이라는 두 가치의 충돌 속에서 조경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의 의견을 들어봤다.

※ 이 기사는 정선군청의 지원을 받아 작성됐습니다.


■ 조경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인터뷰
지방 소멸위기 정선 구할 대안
사람들 다 떠난 뒤라면
금수강산 무슨 의미있나
잘 가꾸고 관리하면 윈윈
올림픽 유산으로도 의미 커

조경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완전한 자연 복원이 이상적이지만 지역 소멸 위기에 처한 강원 정선군의 현실을 고려해야 한다. 가리왕산 케이블카를 존치하면서 환경을 복원하는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조경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강원 정선군 가리왕산 케이블카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이같이 입을 열었다. 전 세계적으로 ‘재자연화’가 환경 복원의 주요 흐름이지만 지역 현실적 여건을 고려할 때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재자연화, 즉 자연으로 돌리는 일이 환경 복원의 세계적 흐름이다. 이상적으로는 자연 상태로 돌려서 동식물이 돌아오고 생태계를 복원하는 과정을 관찰하며 배우는 것이 가장 좋은 환경 교육이 될 수 있다.” 조 교수는 다만 재자연화 역시 사회적 합의를 전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선의 경우 과거 탄광 지역이었던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지역 경제가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조 교수는 “정선은 탄광 지역이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소외됐고 지역 경제가 많이 움츠러든 상태”라며 “이런 상황에서 케이블카가 중요한 관광자원으로 자리 잡았고, 지역 주민들의 기대가 상당하다”고 밝혔다.

정선 가리왕산 케이블카는 개장 이후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지난 5월까지 누적 탑승객 수가 24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정선군 인구의 약 7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조 교수는 대안으로 ‘산림형 정원’ 또는 ‘산지형 정원’ 조성을 제시했다.

“기존의 정원이 시설 위주였다면 산림형 정원은 시설을 최대한 억제하고 서식지 환경을 조성해 생태적 숲을 복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여기에 습지도 만들고, 지역 여건에 맞는 식재를 하면서 사람들이 자연 복원 과정을 관찰하고 경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특히 올림픽 유산으로서의 가치도 언급했다. “정선 가리왕산 케이블카는 다른 지자체처럼 단순한 개발 욕구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설치된 시설이다. 이를 올림픽 유산으로 보존하면서 환경을 복원하는 새로운 모델로 만들 수 있다.”

조 교수는 국내 다른 국가정원 사례와 비교하며 정선만의 특색 있는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순천만은 습지를 보존하면서 도시 팽창을 막는 모델이었고, 울산은 오염된 땅을 회복해 하천변 정원을 만들었다. 정선은 올림픽 시설이었던 케이블카를 존치하면서 훼손된 산지를 복원하는 새로운 정원 모델이 될 수 있다.”

지역 소멸 위기 속에서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을 찾아야 한다고 조 교수는 강조했다.

“우리나라가 삼천리 금수강산이라고 하지만, 자연만 보존하고 사람이 살지 않는 원생 자연만 남긴다면 무슨 의미가 있겠나. 곳곳에 사람들이 잘 거주하며 신명 나게 사는 마을이 함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금수강산이 된다.” 마지막으로 그는 “지역 주민들이 정원을 가꾸고 관리하는 주체가 돼 관광객과 함께 즐기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권효정 여행+ 기자

관련기사

author-img
권효정 여행+ 기자
content@www.tripplus.co.kr

[국내] 랭킹 뉴스

  • “여기서 살자” 부모들이 반한 메이필드 키즈룸 봤더니
  • 덴마크 명품 가구로 꾸민 키즈 패키지 출시한 호텔 ‘어디’
  • [여행+봄] 갈수록 짧아지는 봄…아쉽게 보내지 않을 감성 봄 여행지 14
  • "여기 사무실 맞아?" 판교 신사옥에서 엿본 놀유니버스가 꿈꾸는 세상
  • 제주 K-콘텐츠 글로벌 도약, 제주신화월드·제주도·텐센트 뮤직 손잡다
  • 문의전화 쇄도에 제주에 VIP 라운지 만들었다는 ‘그곳’

추천 뉴스

  • 1
    프랑스 북부에서 만나는 모더니즘 건축의 진수, 빌라 카브루아

    해외 

  • 2
    마이애미 해변을 다채롭게 즐기는 다운타운 도보 하루 코스

    해외 

  • 3
    온 가족 함께 즐기는 독일 쾰른 추천 코스

    해외 

  • 4
    요정이 살 것 같은 스위스의 ‘폭포 마을’ 라우터브루넨

    해외 

  • 5
    한강 작가가 상 받은 그곳, 스웨덴 스톡홀름 노벨상 테마 여행 코스

    해외 

지금 뜨는 뉴스

  • 1
    호주 남부의 예술과 문화도시, 애들레이드 도보 코스

    해외 

  • 2
    아드리아해의 보석, 코토르 근교 페라스트 코스

    해외 

  • 3
    세계 3대 패러글라이딩 명소, 욀뤼데니즈의 아름다운 자연경관 속으로 뛰어드는 코스

    해외 

  • 4
    나시족의 역사와 문화를 오롯이 담은 리장 고성 숨은 명소 3곳

    해외 

  • 5
    벨파스트의 문화 중심지, 퀸스 쿼터 나들이 코스

    해외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