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벌써 덥나했더니…’ 여름이 가장 긴 계절이 된 한국

0

대한민국의 사계절이 바뀌고 있다.
지난 100년간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사계절의 특성이 크게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보다 여름이 20일 길어지고 열대야·폭염일수도 크게 늘었다.

28일 기상청은 인천·부산·목포·서울·대구·강릉 등 6개 지점의 자료를 분석한 우리나라 109(1912~2020) 기후변화 분석보고서를 발간했다.

한반도의 연평균기온은 1.6도 상승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마우나로아관측소(하와이)에 기록된 전지구 기온이 0.8도 증가한 것에 비해 우리나라의 기온상승폭이 더 크다.

우리나라는 모든 월에서 기온이 상승했으며, 특히 봄과 겨울의 기온상승폭이 2.1도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지역별로 대구(+2도)와 서울(+1.9도)의 상승폭이 컸고 목포(+0.8도)는 비교적 작았다.

사진 – 기상청

기온이 오르다보니 계절의 길이가 달라졌다.

과거 30(1912~1940)에 비해 최근 30(1991~2020) 여름은 98일에서 118일로 20일 길어지고, 겨울은 109일에서 87일로 22일 짧아졌다. 봄과 여름 시작일은 각각 17일, 11일씩 빨라졌다. 빨리 찾아온 봄 날씨에 올해 서울 벚꽃은 99년 만에 가장 일찍 개화하기도 했다.

고온 극한지수인 열대야일수와 폭염일수는 각각 8.4일, 1일 증가했다. 한파, 결빙 일수는 4.9일, 7.7일로 감소했으며, 호우 일수는 0.6일 늘었다.

사진 – 기상청

박광석 기상청장은 “과거 한 세기 우리나라 기후변화 역사를 되돌아본 이번 분석 결과는 다시 한번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체감하는 동시에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2050년 탄소중립까지 숨 가쁘게 달려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분석자료는 오는 30일부터 ‘기후정보포털'(열린마당>발간물>기후변화시나리오)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손지영 여행+ 인턴기자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