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주영 여행+ 기자
[여행+봄] 갈수록 짧아지는 봄…아쉽게 보내지 않을 감성 봄 여행지 14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지닌 대한민국. 지금까지는 각 계절 당 석 달씩 배분해 계절을 구분했다. 봄은 3~5월, 여름 6~8월, 가을 9~11월, 겨울 12~2월이 그것이다. 하지만 온난화 등 이상기후가 거세지면서 기존의 3개월 단위 계절 구분이 점차 사라질 전망이다.
[여행+역사] 람세스마저 홀린 3000년 전 히타이트 철기 유물…서울 상륙
3000년 전이라고 하면 도무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 단군이 고조선을 건국한 해가 기원전 2333년으로, 지금부터 4358년 전이다. 그러니 3000년 전, 정확히는 3700여년 전은 고조선이 건국한 이후 정도로 예상할 수 있다.
[여행+핫스폿] ‘올인클루시브’로만 75주년…클럽메드가 가족여행 최고 목적지인 이유
프리미엄 올-인클루시브 리조트 클럽메드가 올해로 75주년을 맞는다. 이를 기념해 클럽메드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몰 라이브 플라자에 ‘클럽메드 푸켓 팝업’을 오는 11일까지 선보인다. 팝업존 개관 행사에는 레이첼 하딩(Rachael Harding) 클럽메드 아시아태평양 CEO와 강민경 클럽메드 코리아 대표 등이 참석해 2024년 성과와 2025년 계획 등을 공개했다.
‘한국 취항 30주년’ 에어캐나다 “한국은 매우 중요한 시장, 앞으로 30년 더 기대”
에어캐나다가 캐나다와 한국을 오가는 날개를 편 지 30년을 맞았다. 에어캐나다는 28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한국 취항 30주년과 지사 체제 전환을 기념하는 행사를 가졌다.
[여행+호주] 지구상에 가장 행복한 동물 보려면 가야하는 ‘그곳’ 그리고 다른 5곳
우리나라에서는 3월 3일을 삼겹살 데이라고 부른다. 이날 전국 정육점이나 돼지고기 전문점은 삼겹살 굽는다고 난리다. 전 세계적으로는 어떨까. UN은 매년 3월 3일을 특별한 날로 정했다. ‘세계 야생 동식물의 날(World Wildlife Day)’이다.
이스타항공, 국내 저비용항공사 중 최단 기간 최대 수송 달성
이스타항공이 운항을 재개한지 533일 만인 지난 9일, 누적 탑승객 500만 명을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약 1년 6개월 만에 누적 탑승객 500만 명을 넘어선 것은 국내 저비용 항공사 중 최단 기간 최대 수송 기록이다.
[여행+베트남] 최장 6일 5월 황금연휴, 어디갈지 고민 중이라면 ‘깜란’ 어때
금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이때 값진 ‘황금’만큼 빛날 ‘황금연휴’가 또 찾아온다. 5월 가정의 달을 연휴로 시작할 수 있게 됐다. 일단 기본적으로 4일의 휴가가 주어진다. 3, 4일 주말에 이어 5일이 어린이 날과 부처님 오신날, 6일은 대체공휴일로 이어진 탓이다.
‘I’는 일본행, ‘E’는 중국행?…MBTI 성향별 ‘이곳’ 찾아가네
호텔스닷컴이 MBTI 총 8가지 성격 유형별로 겨울 여행지를 추천했다. 이번에는 커플과 가족을 위한 여행지다. 고요한 온천부터 에메랄드빛 해변 도시까지 다양하다.
[여행+딸기] “딸기, 어디까지 먹어봤니?” 요즘 호텔계는 상상초월 ‘딸기 판타지’ 작업중
“딸기, 뭐 있어?”라 묻는다면 듣는 딸기, 아니 딸기로 작품에 가까운 디저트를 만드는 셰프가 섭할 소리다. 요즘 호텔업계가 딸기를 주제로 한 다양한 먹거리를 만들어 내 미식 사냥꾼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여행+일본] 만약 지금 일본 도쿄 여행 간다면 머물기 좋은 ‘신상 호텔 4곳’
지난 한 해 동안 일본을 찾은 한국인 관광객 수는 882만명이다. 일본정부관광국에 따르면 한국의 국가별 방문객 비중은 24%, 순위에서도 1위임과 동시에 역대 최다 방문 수치이다. 한국에 이어 중국 698만명, 대만 604만명, 미국 272만명, 홍콩 268만명 순으로 차이는 상당하다.
[여행+빅데이터] 지난 1년 동안 온라인에서 가장 관심 받은 리조트 어디였나 봤더니…
가족 여행을 앞두고 숙소를 알아볼 때 가장 힘든 부분이 ‘기준 인원’이다. 호텔은 일단 2명 이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설사 1인 내지는 2인 추가가 가능한 곳의 경우 엑스트라 베드나 객실 유형이 바뀌지만 만족도는 떨어진다. 엑스트라 베드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고, 객실이 커지는 등 조건이 높아지면 가격 또한 굉장히 상승한다.
[여행+버킷리스트] “그동안 고생했다”란 듣고 싶던 한마디…하늘이 보여준 10분 간의 ‘빛’사위
언제부터인지 모른다. 아침에 눈꺼풀을 들어 올리는 것이 책장 한 페이지를 넘기는 것보다 무겁게 느껴졌다. 알람 소리를 한껏 시끄럽게 바꿨다. 별무소용이다. 마음이 닫히니 귀도 닫힌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이다. 가까스로 욕실로 몸을 움직였다. 정신을 차려야 했다. 대차게 찬물로 온몸을 내리쳤다. 잠시 놀랐다. 그뿐이다. 정상 체온으로 회복하려는 몸의 신호만이 전해졌다.
‘불의 나라’ 아제르바이잔으로 오세요…韓 관광객,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
조지아 아르메니아와 함께 코카서스 3국으로 알려진 아제르바이잔이 한국 관광객을 향해 공식 구애를 펼쳤다.
한국 찾은 외국인 여행객 스포츠 관람 예약 14배 증가
사상 첫 1000만 관중을 돌파하며 인기몰이 중인 한국 프로야구(KBO) 열풍과 함께 한국 스포츠를 즐기려는 외국인 관광객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계 가족 무제한 등재할 수 있는 회원권 탄생…국내 첫 시행
본인뿐만 아니라 직계가족 모두를 등재할 수 있는 회원권이 탄생했다. 대명소노그룹 소노호텔앤리조트는 뉴 멤버쉽 ‘소노러스’에 이은 VIP 멤버십 ’노블리안 블랙’을 출시했다. 두 회원권 모두 국내 최초로 직계가족 ‘무제한 등재’와 ‘사용 가능 입회금’ 혜택을 회원에게 제공한다.
세계 11대 음식 박물관이 서울에? 한국인이라면 가봐야 할 이색 박물관 정체
한국인의 밥상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것이 있다. 바로 ‘김치’다. 김치는 갖가지 유산균과 영양소가 풍부해 반찬은 물론 찌개, 국, 볶음, 만두까지 다양하게 즐겨 먹는다. 전 세계적 열풍인 K-푸드의 근간이기도 한 김치. 그 우수성을 알리고 홍보하기 위해 지난 2020년부터는 ‘김치의 날’도 제정해 기리고 있다. 김장철이 11월 마지막 주부터 12월 초라는 점과 11가지 재료로 22가지 효능을 낸다는 뜻을 담아 11월 22일을 김치의 날로 지정했다.
“방콕 싫어” 외치는 현지인까지 이주한 이곳…코로나 이후 태국에서 가장 바쁜 여행지
태국 치앙마이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태국에서 팬데믹 이후 가장 급부상한 여행지를 꼽자면 치앙마이가 항상 첫 순위에 오른다. 선선한 날씨와 느긋한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어디든 눈이 편한 초록이 펼쳐지는 치앙마이는 코로나 난리통을 겪으면서 아예 ‘힐링의 도시’로 이미지를 굳혔다. 이 평안한 안식처로 찾아드는 사람들은 비단 태국인뿐 아니다. 한국은 물론 싱가포르, 일본, 중국 그리고 인도까지 근방 아시아 국가에 입소문이 자자하게 퍼졌다. 치앙마이 추앙자들은 이 도시를 혼자서만 ‘점유’하려 하지 않는다. 주변에 치앙마이가 얼마나 좋은지 마치 홍보대사처럼 이야기를 퍼뜨리고 다닌다.
[여행+사람] 대한민국 0.1%가 누릴 ‘그 곳’을 만드는 사람
럭셔리(luxury)란 무엇일까. 비싸고 호화롭다 정도로 단정하기에는 모자람이 있다. 무릇 흔하지 않아야 하고, 전통이 이어져야 하며, 이야기가 있어야 한다. 나아가 누구나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경지에 다다라야 한다. 그래서 혹자는 장인의 손길과 럭셔리를 동일 선상에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