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승무원이 밝힌 비행기 화장실에서 양치하면 안 되는 이유

김혜성 여행+ 기자 조회수  

비행기 안에 장시간 있으면 답답한 공기에 입안이 절로 텁텁해진. 기내식은 맛있게 먹었지만 올라오는 입 냄새에 양치하고 싶은 욕구가 샘솟는다. 우리의 바람과는 다르게 승무원은 비행기 화장실에서 양치하는 걸 추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지난 18일 영국 매체 더 선(The Sun)승무원이 밝힌 비행기 화장실 이용법을 전했다.


익명의 전직 승무원은 비행기 화장실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것이 좋다창문도 없고 환기도 잘 안 되기 때문에 화장실을 갈 때마다 배설물 냄새가 섞인 악취를 들이마시는 불쾌한 경험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승무원은 기내 화장실에서 양치하는 것도 추천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비행기의 물은 하나의 물탱크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같은 물로 커피, 식수 등을 제공하고 동시에 화장실 세면대에서도 사용하는 것이다. 양치를 하고 싶으면 생수를 사용할 것을 권유했다. 정수 처리된 물이지만 기내 안에서 다시 자체적으로 여과할 수는 없기 때문에 수질이 평균 이하인 경우가 많다.

실제로 다이어트 디텍티브닷컴(Dietdetective.com)과 뉴욕 헌터 대학의 엔와이시 음식 정책센터(Hunter College NYC Food Policy Center)2019년 기내 수질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 항공사의 기내 물탱크 수질이 좋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물탱크의 구조가 미생물이 증식하기 쉬운 구조이기 때문이다.

기내 화장실을 이용했다면 착륙 후 반드시 목욕을 하고 옷을 세탁하라고 강조했다. 손소독제를 가지고 다니거나 화장실 이용 전, 후로 비누를 이용해서 꼭 손을 씻을 것을 권했다. 이밖에 신발을 신지 않은 채 화장실을 이용하면 소변 등 배설물을 밟게 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이착륙 시 비행기 화장실을 이용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이착륙 직전에 비행기 화장실을 이용하는 건 위험한 행위이며 승객들이 몰리는 시간대기 때문이다. 승무원은 기내식은 기름지고 염분이 많아 장 건강이나 소화에 좋지 않아서 탈이 나는 승객이 많다이착륙 시 좌석 벨트 사인이 꺼지자마자 화장실로 달려가는 승객이 많다고 전했다.

비행기에서 사람이 몰리지 않아 화장실을 이용하기 좋은 때는 음료 서비스 등 기내 서비스가 제공될 때다.

=김혜성 여행+ 기자

관련기사

author-img
김혜성 여행+ 기자
content@tripplus.co.kr

댓글7

300

댓글7

  • 실제로 비행기 물 탱크 소독은 몇 달에 한번씩 꽤나 뜸하게 한다고 합니다. 기내에서 생수 사용한다는 것은 각 항공사마다 같지 않다.

  • 난 라운지에서 생수를 가지고 타거나, 빈 물통을 갖고 다니면서 보안검사 후 공항 대합실 부근 수돗가에서 양치용 물을 갖고 탄다.

  • 지나가는 외국항공사 현직 승무원입니다. 이착륙시 고객이 몰리는게 아니라 화장실 사용 못하게 seat belt sign on이라 못가게되어있어요. 기자양발 제대로 알고 기사쓰시길 바랍니다. 기내 식수 따로 필터링되서제공됩니다...:)

  • 기내에서 식수로 사용하는건 생수를 사용합니다. 화장실 세면대 물은 당연히 식수가 아니지요. 양치질 하는 물은 생수를 따로 요청해서 사용하는 것이 상식입니다. 정 걱정되면 작은 알콜통을 들고 다니면서 화장실에 뿌린 후 들어가면 됩니다.

  • 같은 물로 커피도 타고 식수제공도 한다면? 장난치냐?

[항공] 랭킹 뉴스

  • 하얀색의 비행기 / 사진= 언스플래쉬
    "엄마, 왜 노란색 비행기는 없어?" 비행기가 하얀색인 다섯 가지 이유
  • 37년간 지구 150바퀴 비행한 기장의 마지막 당부 한마디
  • “규현! 왜 거기서 나와?” 얼굴 큼지막이 새긴 항공기 등장 ‘화제’
  • 승무원이 말한 기내에서 가장 안전한 좌석
  • 치킨, 파스타도 아니다 '새롭게 떠오르는 기내식 메뉴’
  • 비행기에서 내 옆 좌석 승객의 몸집이 너무 크다면?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투애니원 멤버들 양현석 만나러 ‘YG 신사옥’ 찾아가…8년 만에 나눈 대화 내용
  • “남극 빙붕 녹은 물 57%는 슬러시 상태…녹는 속도 예상보다 빨라”
  • ‘1티어 아이스크림’ 더위사냥·생귤탱귤, 다음달 ‘제로 슈거’로 출시된다
  • 그리스 유명 관광지 ‘이것’ 때문에 관광객 접근 제한…무슨 일이
  • “등본 떼보니 아내 주민번호 원래 1로 시작…트랜스젠더일까요?”
  • ‘종이 쇼핑백’에 고양이 두 마리 담아 보호소로 달려온 남성…’그저 돕고 싶었을 뿐’
  • 엔/달러 환율 161엔 돌파…37년 6개월 만에 최저치 찍었다
  • 요즘 신봉선이 이해 안되는 것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투애니원 멤버들 양현석 만나러 ‘YG 신사옥’ 찾아가…8년 만에 나눈 대화 내용
  • “남극 빙붕 녹은 물 57%는 슬러시 상태…녹는 속도 예상보다 빨라”
  • ‘1티어 아이스크림’ 더위사냥·생귤탱귤, 다음달 ‘제로 슈거’로 출시된다
  • 그리스 유명 관광지 ‘이것’ 때문에 관광객 접근 제한…무슨 일이
  • “등본 떼보니 아내 주민번호 원래 1로 시작…트랜스젠더일까요?”
  • ‘종이 쇼핑백’에 고양이 두 마리 담아 보호소로 달려온 남성…’그저 돕고 싶었을 뿐’
  • 엔/달러 환율 161엔 돌파…37년 6개월 만에 최저치 찍었다
  • 요즘 신봉선이 이해 안되는 것

추천 뉴스

  • 1
    이랜드파크 켄싱턴호텔앤리조트가 전국 11곳에 내놓은 패키지

    국내 

  • 2
    안동 유네스코 세계유산, 기차 타고 보러갈까

    국내 

  • 3
    총감독이 콕 집은 조성진, 체코는 '프라하의 봄'에 돌아온 '황태자'를 열렬히 맞아줬다

    해외 

  • 4
    교토, 17년 만에 ‘이곳’ 문 열었다

    메인 

  • 5
    中 베이징, 관광 활성화 위해 ‘관광지 실명 예약제’ 폐지한다

    해외 

지금 뜨는 뉴스

  • 1
    "언더 더 씨" 덴마크와 독일 잇는 해저 터널 생긴다

    여행꿀팁 

  • 2
    저렴한 관광지 되기 싫어… 발리, 관광세 5배 인상 추진한다

    해외 

  • 3
    우리나라에도 들어올까? 무제한 생맥주 마시는 대중교통 도입한 나라

    해외 

  • 4
    불꽃에 드론까지? 놓쳐선 안 되는 일본의 ‘이’ 불꽃축제

    해외 

  • 5
    “대만 MZ는 여기서 논다” 제2의 수도 타이중 핫플 모음

    해외 

공유하기

7